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그리스 로마신화

카테고리 없음

by Luckey traveler 2021. 4. 4. 20:04

본문

그리스 로마신화에 들어가기에 앞서

그리스 로마신화

고대 그리스의 신화는 고대 그리스 시대에서 시작하여 헬레니즘 시대 로마 제국 시대를 거치며 많은 희곡과 이야기가 덧붙여져서 서구신화 중세서도 매우 자료가 많아진다. 신화는 그리스와 로마가 그리스도교화되기 전까지의 이야기를 종교부분과 내용을 많이 같이 하고 있다. 그렇지만 로마 제국이 그리스도교를 국교로 채택하고 이교도를 축출하는 과정에서 종교의 성격이 소멸하고 문학적, 예술적인 도구로 남게 된다. 그리스 로마 신화는 내용이 '그리스 신화'에 관한 이아기가 대다수이다. 로마인들은 자기네 전통 신들을 거의 대부분 그리스 신들과 동일시했기 때문에, 로마 신화는 부가적으로 다룰 뿐이다. 대부분 신들은 제우스, 아프로디테 등 그리스식 이름과 유피테르, 베누스 등 로마식 이름이 모두 있지만 사실 각각은 같은 맥락으로 대응된다.그리스 신화에 로마신화의 내용이 적고 중요 비중도 작다. 유럽에서는 '그리스 신화'에 비중을 크게 두고 있어서 로마 신화에는 관심이 많이 없다. 하지만 로마 신화가 완전히 소외되고 있지는 없다. 대표적으로 전쟁의 신 마르스가 인간 무녀 레아 실비아와 사랑에 빠져 로물루스와 레무스라는 이름의 쌍둥이를 낳아 강물에 떠나보냈더니 늑대가 주워서 키우고 이들은 성장하여 자신들의 이름을 따 로마를 건국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본래 그리스 신화에서 나온 아이네이아스 전승을, 로마에서 베르길리우스가 체계화하여 아이네이스라는 서사시로 21세기까지 널리 보급되었다. 또한 로마 시대에서는 이미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그리스 철학의 영향으로 세상 이치를 신들의 행위 대신 자연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로마인의 국민성 자체가 실용성을 절대적으로 추구했기 때문에, 이전의 그리스 신화보다는 신들이 인격신보다는 자연의 법칙에 가까운 모습으로 나온다. 그리스 신화 안에서도 펠라스고스 신화, 오르페우스 신화, 호메로스 신화, 헤시오도스 신화 등 여러 계통이 있다.

 

신화의 기원제목

그리스 신화의 기본은 흑해 인근 쿠르간 지역에 살면서 원시 인도유럽어를 사용했던 유목민족의 종교와 신화이다. 그 시대 사람들이 사용했던 언어와 신앙은 그리스어와 그리스 신화에도 조금씩 변화되어 내려온다. 언어 및 종교학자들은 오랫동안 연구하여 원시 인도유럽어를 사용했던 쿠르간 지역의 유목민족인 원시 인도유럽인의 언어와 기본적인 신화의 뼈대를 조금은 알아냈다. 그리스 신화는 이집트 신화에도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일부 19세기 학자들은 이집트를 비롯한 근처의 신화가 그리스에 끼친 영향을 과소평가하였으나 현재는 이런 관점이 아니고 고대 그리스인들도 자신들이 이집트 신앙에서 많은 것을 배웠다고 인정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헤로도토스는 이집트 사제들이 최초로 신전을 만들었고 신들에게 이명을 부여하는 전통을 시작했으며 그리스인들이 이집트인들에게 이런 전통을 배웠다고 증언했다. 그리스 신화는 주로 '세상은 왜 이런가'를 설명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유명한 영웅 신화 등을 빼면 신들에 의해 바다가 생겼다. 어떤 동물은 어떻게 생겨났다라는 등의 이야기가 많다. 과학과 같이 세상의 이치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즉, 생명의 근원, 어둠, 사랑과 같은 추상적 개념이 신으로 의인화된 경우가 대부준이다. 특히 주신들에 의하여 세상이 창조되지 않았다는 점은 대부분의 고대 신화에서 공통되는 부분이다.

 

신들과 인간관계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들은 인간의 행동과 모습과 유사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이 강하고, 특히 신들의 성격이 편협하고 이기적이라고 비난받고 있다. 제물 바치는 것을 까먹었다고 저주를 내리고 재앙을 내리질 않는가하면 자기 일을 의도적이던 그렇지 않던 방해했다고 사신을 보내서 저승으로 날려버리려 하는 등 현대 종교의 신들과는 확연히 차이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현시대의 해석일 뿐이고, 현대에서 신들이 찌질이 내지는 막장 취급받는 것은 첫째, 신이기 때문에 그 행동과 결과가 극단적으로 치닫는 경우가 많았고, 둘째, 그리스 신화가 처음 태동하던 시기의 '상식'이 현대와는 완전히 달랐기 때문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미술과 그리스 로마신화

나의 생각

학령기가 되면 무조건 읽기 시작한 그리스 로마신화는 내용이 너무 방대하여 다 읽지도 못했다. 간혹가다가도 신화와 관련된 일화나 그림이 나올때마다 기웃거리듯이 찾아본 것 다인것 같다. 그래서 앞으로 다양한 주제별 신들을 만나면서 사람들의 이야기를 나누어 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

댓글 영역